카카오에서 일하는방법 (agile코치)
Open Work

open의 의미
  1. 열다
  2. 개방하다
  3. 오픈
  4. 공개하다
  5. 시작하다
  -> 6. 도움이 되게하다 >> 협업
  -> 7. 솔직한,숨김없는 >> 팀웍
오픈의 의미 속에서 일하는방법을 알아낼수있음

에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선언을보면
공정과 도구보다 개인과 상호작용. -> 문화적인 작용이 크다.

카카오는 문화를 어떻게 만들고있을까
자기주도성 -> 주도적이고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권한을 적임자에게 위임
공개/공유 -> 결론 뿐만 아니라 의견 개진과 토론의 내용까지도 모두 공유
수평커뮤니케이션 -> 해당업무의 적임자라면 누구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
                                                                                                 는 결국 오픈
사례:
"메이슨, 제 생각은 달라요" 를 자유롭게 말할수있는 문화 (메이슨: 카카오대표이사), 카카오서비스에 대한 의견제시에 투명하고 솔직함

신뢰 -> 내 동료가 하는 이야기는 사용자or카카오에 더 좋은 얘기일 것이라는 믿음
충돌 -> 불편함을 감수하고 솔직하게 의견을 나누는 행동. 이성적이고 객관저 근거를 갖춘 대립의 과정
헌신 -> 결정된 사항은 '우리의 결정'으로 수용하고 헌신직으로 몰입하는 마음가짐

 

    > 결국 자기주도적이고 수용할줄아는 자세를 가진사람을 뽑는걸까...?? 아니면 그런 사람들이 잘하는걸까???


카카오스러움/core value   ( 카카오의 목표인듯함 )
 가보지 않은 길을 두려워 하지않음.
 무엇이든 본질만 남기고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본다.
 나보다 동료의 생각이 더 옳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다.
 스스로 몰입하고 주도적으로 일한다.
 세상을 선하게 바꾸려고 노력한다.


문화 VS 시스템
둘중 하나를 선택하라고하면 문화를 선택한다!
서로 같이 발전해나가는것.
사례
 접근성 업무에 대한 인식제고로, 타 팀간의 소통개선을 통해 업무의 만족도와 몰입도가 상승하고, 자기 주도적 업무 진행이 이루어지고있다.

정의
모든 일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돕게하기 위한방식
물어볼 필요없이 정보를 찾는것 (모든 일, 나의일 너의일 다른팀의일이 오픈되어있음.)
단순히 공개된 공간이 존재함이아니라, 규칙이 존재하며 일부러 찾지않아도 항상 거기있음. (룰 프로세스 표준)


카카오의 openwork
지라 활용 성숙도 모델
  - JCMM이라 불리며, 지라를 활용하는 CMMI라 하면됨.
지라 프로젝트 유형 모델
  - 프로젝트 식별체계 -> 프로젝트카테고리, 프로젝트 명명규칙, 프로젝트 부가정보
  - 프로젝트 구성 -> 공통, 싱글, 멀티
지라 프로젝트 구성요소 표준화
  - 지라 프로젝트 구성요소는 복잡함. 복잡한 스키마.
  - 표준스킴 확대 > 워크플로우 표준화 > 부채 정리


--------------------------------------------------

 

현재 나의 회사, 사내분위기와는 별반 달라보이는건 없다.

 - 전부 자기주도적으로 일찾아나서고, 저건 내가 할수있다 혹은 하면되겠다 하면 주저없이 나선다.

 - 선배라고 혹은 직급높다고 다 알고있다고는 생각하지않는다. 객관적으로 의견을 나눌 줄 안다.

 - 감추는 것이 없다. 사업에 관한건 모두 오픈되어있으며, 자료는 찾으면 나온다.

 but,

사내 시스템에 대한 성숙도 모델과, 프로젝트에 대한 체계가 약하다고 느껴진다.

 

결론.

울회사에서 성숙도 모델을 어떻게 만들면될지 고민을 해본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거킹 기네스 와퍼 후기  (0) 2020.09.02
[AZ-103][AZ-203][AZ-400] 취득 후기  (0) 2020.08.27
티스토리 구글 검색 노출되게 하기  (0) 2020.08.26
원룸 창틀 빨래 건조대 구매후기  (0) 2020.08.25
티스토리 가입  (0) 2020.08.24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